[신간 소개]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교육(유정오, 2024년)
인쇄
관리자 
2024-10-28 13:01:04
조회:138
답글지움수정 아랫글 목록 윗글
첨부 파일

 

신간 소개합니다.

 

유정오,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교육, 한국초등국어교육연구소 미래엔 연구총서 35호, 2024년

 

 

[책 소개]

수업은 학생의 역량 함양을 위한 주요 통로로, 수업을 통해 역량을 함양하는 매개체가 바로 교과 역량이다. 국어과 교과 역량 중 하나인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의 체계화’를 통해 학교의 역량 중심 교육을 지원하고, 역량 중심 교수·학습에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목차] 

1부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개념 명료화
◆ 교과 역량 체계화 1단계-역량 개념 명료화

1장 역량의 개념과 특성 탐색
1. 역량의 일반적인 개념
2. 역량의 특성
3. 교육 분야에서 역량의 개념
4. 교과별 의사소통 역량의 개념
2장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구조화
1.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의 재개념화
2.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의 범주와 요소
3.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의 세부 요소
4.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평가 지표

2부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평가 절차 마련
◆ 교과 역량 체계화 2단계-역량 평가 절차 마련

3장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진단과 분석
1. 연구 배경
2. 연구 기반
3. 연구 설계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4장 개인 변인에 따른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의 차이 및 연관성 분석
1. 연구 배경
2. 연구 기반
3. 연구 설계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5장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의 중요도-실행도 분석
1. 연구 배경
2. 연구 기반
3. 연구 설계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3부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교육 실행
◆ 교과 역량 체계화 3단계-역량 함양 학습 경험 설계

6장 이해 중심 교육과정 기반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단원 설계: ‘토의하기’ 중심으로
1. 연구 배경
2. 연구 기반
3. 연구 설계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7장 이해 중심 교육과정 기반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단원 실행: 생성형 AI를 활용한 ‘토의하기’ 중심으로
1. 연구 배경
2. 연구 기반
3. 연구 설계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8장 국어과 듣기·말하기 교육과정 실행: ‘진로 탄력성 교육’과의 연계를 중심으로
1. 연구 배경
2. 연구 기반
3. 연구 설계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수업은 학생의 역량 함양을 위한 주요 통로로, 수업을 통해 역량을 함양하는 매개체가 바로 교과 역량이다. 국어과 교과 역량 중 하나인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의 체계화’를 통해 학교의 역량 중심 교육을 지원하고, 역량 중심 교수·학습에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답글지움수정인쇄 아랫글 목록 윗글